촌금(寸錦)은 어떻게 촌금(寸金)의 가치를 내었는가?

From:금교Author: 2023-07-19 14:06

 동한(东汉) 시기에 류희(劉熙)가 쓴 <석명(釋名)>에는‘금(錦)은 금(金)으로 쓰임새가 크고 그 값이 금과 같아 백(帛, 견직물의 총칭)과 금에서 글자를 따왔다(故其制字从帛与金也)’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때부터 사람들 사이에서‘촌금촌금(寸錦寸金)’이라는 말이 전해져 왔다.

 고대에 비단 가격이 비싼 이유는 원단 자체 때문이기도 하고 다른 외부 요인도 있었는데, 이 두 요인이 서로 영향을 주어 비단은 줄곧 비싼 가격을 형성했다.

 진귀한 중국 고대의 비단

 고대 중국에서 모든 사람이 비단을 입을 수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

 고대 중국은 계급윤리를 중시했는데 서주(西周)부터 사회 등 계급제도가 점차 확립되어 완전한 관복제도가 생겨났다. 당시, 제왕은 비단으로 권위를 과시했고 백관은 비단으로 등급을 표시했으며‘서인’이라 불리던 일반 백성들은 비단을 입는 일이 극히 드물었다.

 역사의 객관적 요소를 떠나 비단이 황금 등가율이 될 수 있었던 또 다른 중요한 이유는 생산 과정의 번거로움과 자연 조건의 한계 때문이다.

 고대에는 사람 두 명이 견(絹, 평직으로 짠 비단) 한 필을 짜는데 닷새라는 시간이 소요됐다. 기(綺, 무늬가 있는 비단) 한 필을 짜려면 사람 5명이 필요하고 시간은 더 오래 걸렸다. 따라서 비단의 가격은 높았으며 여기에는 적지 않은 인공적 가치가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황실 귀족들을 위한 금(錦, 색채와 무늬가 있는 비단)을 짜는 데는 심지어 수년의 시간이 걸렸다. 당(唐)나라 시인 백거이(白居易)는 <요릉(繚綾)>에서 요릉(정교한 견직물의 일종)의 생산공정과 공예특징에 대해‘요릉 비단을 짜는데 공과 수고를 쓰니, 보통의 비단과는 비교하지 말라. 실이 가늘어 실 뽑을 때 여인들의 손이 아프고 베틀소리가 찰칵찰칵 수없이 낸 들 한 자도 못 짠다(繚綾織成費功績,莫比尋常繒與帛。絲細繰多女手疼,紮紮千聲不盈尺).’라고 상세하게 서술했다. 베틀소리가 수없이 많이 들려도 한 자도 짜지 못하니 비단 생산이 쉽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누에 양식은 계절적 한계와 여러 자연 재해의 영향을 받아 재료 공급망이 매우 불안정했다. 이는 모두 비단이 귀한 것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한 중요한 요소다.

 세계의 사랑을 받는‘소프트 골드’

 누에를 길러 고치를 켜 실을 뽑은 다음 손으로 화려한 비단을 짠다. 비단의 화려함은 당나라의 명화 <잠화사녀도(簪花仕女圖)>에서 엿볼 수 있는데, 그림 속 사녀는 비단으로 만든 어깨걸이를 몸에 걸치고 있는데 둥근 둥지 모양의 무늬가 장식되어 있으며, 어깨걸이가 어깨와 등에 둘러져 있고 그 양끝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려 여성스럽고 우아하다. 걸을 때 가벼운 옷차림은 바람에 따라 가볍게 춤추고 우아하고 나풀나풀한 것이 마치 하늘에서 선녀가 온 것과 같다.

 아름답고 현란한 비단은 세계의 사랑을 받았다. 일본 헤이안 시대의 여류작가 세이 쇼나곤가 쓴 <마쿠라노소시>에서‘당금(唐錦, 당나라의 색채와 무늬가 있는 비단)’은‘휘황한 물건’으로 불렸다. 당나라에서 가장 유명한 비단으로 일본 왕실과 귀족들이 앞다퉈 사들인 사치품이 되었으며 지위, 신분, 재력의 상징이기도 했다. 오늘날에도 일본 쇼소인을 통해 화려하고 웅장한 당나라 비단을 엿볼 수 있다.

 유럽 지역의 부유층도 중국 비단을‘동양의 화려한 아침노을’이라고 부르며 최고의 보물로 여겼다. 그러나 기술의 독점성과 물류의 비용은 이러한‘화려한 아침 노을’을 황금만큼 비싸게 만들었다. 서한(西漢) 시대에 장건(張騫)은 실크로드를 개척하여 장안(長安)을 시작으로 하서(河西), 서역(西域), 중앙아시아, 서아시아를 거쳐 마침내 로마 제국에 도달했다. 천리의 거리와 우여곡절을 거쳐 로마에 도착한 비단은 이미 성(城)하나를 살 수 있을 만큼의 비싼 가치를 형성하게 되었다.

 서기 2세기에 고급 중국 견직물 1파운드(약 453g)가 12온스의 금(약 340g)에 판매되었다. 이것만으로도 로마는 매년 최소 42만 5000파운드짜리 금화를 쓰게 되었다. 서기 301년, 로마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가 로마인의 비단에 대한 광신적인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 중국 생사의 가격을 파운드당 약 274개의 골드프랑으로 강제 책정하였다. 따라서 비단은‘소프트 골드’라는 별명도 갖게 되었다.

 고대 비단의 화폐 기능

 동한 시기의 <설문해자(說文解字)>에‘화폐(貨幣)’라는 단어가 처음 등장했는데‘화(貨)는 재물이고 폐(幣)는 백(帛, 비단)이다’. 여기에는‘백’은 바로 비단을 가리킨다. 비단은 주화와 함께 유통되었으며 중간 등가물 역할을 하는 주화와 달리 실물 교환의 매개로 활용되었다.

 동한 연평(延平) 원년,‘입춘일에 사자를 보내 문관 사도사공(司徒司空)에게 백 30필을 하사했다. 구경(九卿)에게는 15필씩, 무관 태위대장군(太尉大將軍)들에게는 60필씩, 집금오(執金吾) 모든 교위(校尉)들에게는 30필씩 하사했다. 무관은 문관의 두배다.’라는 글로 미루어 보아 비단이 귀중한 물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서(隋書)>에는‘녹솔(祿率) 일부는 백, 일부는 속(粟), 일부는 전(錢)으로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당시 공무원 봉급은 비단과 조, 화폐 등 3가지 형태로 지급되었으며 그 중 비단이 1위를 차지했다는 얘기다.

 서기 618년, 이연(李淵)이 당나라를 개국하고 황제로 추대되었다. 서이(西夷)가 강한 국력을 자랑하는 당나라에 복종하자 실크로드에 인접해 있는 국가들이 잇따라 비단의 화폐적 기능을 승인했다. 중국은 비단을 생산하고 서역은 양마를 많이 생산했는데 양자는 유무상통하여 등가교환으로 상품을 유통시켰다. 천보(天寶) 2년, 거칠게 직조한 비단 제품인‘대련(大練)’은 차상마(次上馬), 차마(次馬)와 하마(下馬)로 교환할 수 있었으며 가격은 각각 9필, 8필, 7필로 비단의 화폐적 특징이 더욱 뚜렷해졌다.

 두보(杜甫)는 <여인행(麗人行)>에서‘수놓은 비단 의상 늦봄에 비추는데 금실 공작과 금실 기린으로 수놓았네(綺羅衣裳照暮春,蹙金孔雀金麒麟)’로 귀부인의 생활상을 표현했다. 이상은(李商隱)은 시에서‘만남이 쉽지 않듯 헤어지기도 어려워라. 봄바람이 힘을 잃자 꽃들이 시드네. 봄누에가 죽음에 이르자 실이 끊기고, 촛불은 재가 되어 굳은 눈물만 남았네(相見時難別亦難,東風無力百花殘。春蠶到死絲方盡,蠟炬成灰淚始幹).’라고 표현했다. 이 시가 나오자마자 사람들 사이에 회재되어 천고에 전해 내려오고 있다.

 비단의 강력한 지위는 청(清)나라 말기까지 계속되었다. 당시 강녕직조국(江寧織造局), 소주우직조국(蘇州織造局), 항주직조국(杭州織造局)을 주축으로 한 국가 운영 견직기구를 세웠고, 민간에서도 규모가 다른 많은 견직 공방이 생겨났으며 품종이 매우 다양했고 활발한 생산과 판매가 이루어졌다. 대외 무역에 있어서도, 생사와 견직물은 일정한 규모를 형성했다.

편집:董丽娜

문장과 그림에 대한 저작권은 원 저자에게 속하며 해당 내용을 삭제하고 싶을 경우 따로 연락을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