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료산수(攪料山水), 유리예술의 보물
From:금교Author: 2023-07-18 13:49
유리는 광물 석영을 주원료로 하고 다양한 화학원소를 첨가하며 1400도의 고온을 거쳐 정련하여 만든 장식품의 일종이다. 고대 전통문화와 현대예술의 결합으로 빛나고 변화무쌍하며 동양인의 정교, 섬세, 함축적인 표현이며 사상감정과 예술의 융합이기도 하다. 중국 5대 명기의 으뜸(금은·옥취·유리·도자기·청동)이자 불가의 일곱 가지 보물 중 하나로 꼽히는 유리는 3천년의 시공간을 초월해 역사의 화려함을 퇴적시키고 내부에 축적된 풍부함은 마모되지 않는 색채를 간직하고 있다. 노래처럼 흐느끼는 빛깔의 ‘흐름(流)’은 마치 서시(西施)가 울면서 범려(范蠡)와 헤어졌을 때의 그 처절함을 말해주는 것 같았다. 그녀의 영롱한 눈물이 범려가 증여한 증표인 ‘려(蠡)’에 떨어진 것에서 ‘류려(流蠡)’라는 호칭이 유래했다. 오늘날의 ‘유리’는 바로 이 이름에서 변천된 것이다.
교료산수 유리병은 유리재질로 산수화면을 어떻게 잘 표현했는지를 재해석한 것이다. 자연계 산수의 형성은 천지의 정기와 기의 이동과 변화로 비롯한 것이니 이는 인위적인 그림으로는 이루어낼 수 없는 것이다. 하지만 교료산수 공예는 전통적인 회화 형식을 버리고 자연계의 산수 형성 방식을 모방한 것으로 유리 재질의 변화를 통해 표현되며 전체 그림이 표면에 있지 않고 병과 하나가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산수는 인위적인 통제를 받지 않고 화면도 창작 과정에서 끊임없이 변화하기때문에 공예가는 화면을 보면서 약간의 조정을 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교료산수 공예를 통해 만든 작품은 모두 유일무이한 것이다.
교료산수 유리병의 생산 공정과 예술은우선 재료 선택에 있으며 봄, 여름, 가을, 겨울은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내화나 외화는 모두 붓을 통해 그려지지만 교료산수는 가위, 족집게, 박자를 통해 만들어지며 창작 과정은 휘젓기, 비틀기, 두드리기, 잡아당기기 등의 수법으로 만들어진다. 유리공법은 재료를 겹겹이 쌓아올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산수의 위계감을 더 잘 살리는 것도 다른 재질로는 부족하다.
몽롱한 먼 산은 가벼운 베일에 싸여 희미하게 드리워져 있으며 아득한 구름 연기 속에서 멀어졌다가도 가까워지며 마치 몇 획의 엷은 먹물을 푸른 하늘가에 칠한 듯하다. 아침 햇살의 비춤을 받은 산은 수줍은 소녀처럼 보일 듯 말 듯, 해가 서산에 지고 여광이 산을 비춘다… 교료산수 공예는 천 년의 유리 문화를 계승했을 뿐만 아니라 국화 산수와 유리 예술의 완벽한 조화를 개척하여 유리 예술 창작을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그러나 산수화를 유리에 담는 것은 결코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중국 산수화에 대한 깨달음 뿐만 아니라 유리의 제작에도 능숙해야 한다. 유리공법에 대한 공부는 1400도의 고온에서 기초부터 차근차근 익혀야 할 정도로 힘든 일이다.
유리 제품은 정교하고 완벽한 기형으로 기물의 아름다움을 해석하는 동시에 값진 예술품에 속한다. 그 이유는 한편으로는 고대 유리의 재질이 특수하고 생산 공법이 복잡하여 완성하는 데 수십 개의 공정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동시에 각 단계를 파악하는 것도 상당히 어려우며 특히 불길을 파악하는 어려움은 기술과 운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한편은 유리는 단순한 재료가 아니라 문화 상품이기도 하며 더 중요한 것은 순수 수작업으로 만든 유리 제품은 똑같지 않으며 각각이 모두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편집:董丽娜
문장과 그림에 대한 저작권은 원 저자에게 속하며 해당 내용을 삭제하고 싶을 경우 따로 연락을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