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을 선사하는 상서로운 토끼
From:골든브릿지Author: 2023-02-03 10:25
호랑이해를 보내고 토끼해를 맞이하며 곳곳에서 옥토끼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머리에 오색 투구를 쓰고 몸엔 상운갑을 입은 천진난만한 팬더 머리에 원기 왕성토끼 귀를 쓰고 있는‘투둔둔(兔墩墩)’은 베이징 전통 민속공예품인‘투얼예(兔兒爺, 오래전 중추절에 제사용도로 쓰였던토끼인형)’를 소재로 디자인한 것으로 다시금 대중의관심사로 떠올랐다.
유엔우편행정부(UNPA)는 뉴욕에서 왼쪽절반은 유엔 엠블럼 도안이고 오른쪽 절반엔 상운으로 둘러싸인 황금빛 달을 배경으로 한 생기발랄한 흰 토끼가 돋보이는‘달토끼’그림이 있는 중국 음력 계묘년 토끼해 특별판 우표를 발행해 중국의 음력 춘절이 도래한 것을 축하해 주었다.
일년에 한번 열리는 CCTV 설 특집(春節晩會)은 올해 최초로 인터넷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첫 오리지널 마스코트 IP‘투위안위안(兔圓圓)’을 창조했다. 투위안위안은 시대적 풍모와 하이테크 분위기를 물씬 풍기는 참신한 외관 디자인에서 우수한 중화 전통 문화의 순후한 저력을 드러내며 생동감 넘치는 모습으로 길고 아름다운 중화민족의 이야기를 세상 사람들에게 흥미진진하게 들려줄 것이다.
토끼는 예로부터 중국인에게‘상서로운 동물’로 여겨졌다. 고서 <서응도(瑞應圖)>에‘붉은 토끼는 대서, 흰 토끼는 중서(赤兔大瑞,白兔中瑞)’라고 기록되어 있다. 옛날에는각지에서 흰 토끼가 발견되면 흥겹게 노래하고 춤추며 조정에 바쳐 군주의 현명함과온 천하의 태평함을 보여주었다. 기록에 따르면 한(漢)나라 건평(建平) 원년,영화(永和) 3년과 영강(永康) 원년에 세 차례 흰 토끼를 조정에 바쳤다. 고대 야생토끼의 털은 대부분 회갈색이었고 흰 토끼는 극히 드문 돌연변이였기에고대인들에게이는 매우 귀중하게 여겨졌다.
‘토끼’는 중국에서 아름다운 단어지만 이 이름의 유래를 아는 사람은 드물다. 한나라 이전에, 옛 사람들은 숫토끼가 없다고 여겼다. 진(晉)나라 장화(張華)는 <박물지(博物誌)>에서 토끼가‘달을 보고 임신하여 입에서 새끼를 뱉었다(望月懷孕,口中吐子)’라고 했는데 이는암토끼가 달을 바라보기만 해도 새끼를 임신하여 낳을 수 있다는 뜻으로‘토자(兔子, 토끼)’이름은‘구중토자(口中吐子)’에서 나온 것이다. 이런 견해는 한나라 시대에 이르러서야 바로잡혔다. <목란사(木蘭辭)>에서‘숫토끼는 멋대로 뛰어다니고 암토끼는 항상 실눈을 뜨고 있다(雄兔脚扑朔,雌兔眼迷离)’고 하며 이미 분명하게 구분했다.
그럼에도 토끼의 뛰어난 출산능력은 고대의 많은 자식과 많은 복을추구하는 전통 관념에서 옛 사람들의 출산이상에 정확하게 부합했기 때문에 끊임없이생장하고 번성하는 왕성한 생명력을 대표하는 동물이 되었다.
그런데 토끼와 달은 하나는 땅에, 하나는하늘에 있어 그 자체의 이미지가 서로 거리가 먼데 중국의 옛 사람들은 왜 토끼를‘옥토끼’,‘명월의 영혼’으로 여겼을까?
본디 토끼가‘신단(神壇)’에 오를 수 있었던 것은 달을 숭상하는 문화의 영향을 받아서다. 달은 인구 번식의 추구와 불로장생에 대한 선인들의 바람을 반영하였는데 이는토끼 숭배에 대한 선인들의 내용과 꼭들어맞는다. 그래서, 선인들은 지혜와 상상력을 발휘해 다리를 놓아주었다. 그 중에서가장 흥미진진한 것이 바로 상아(嫦娥)가달을 향해 달려가는 이야기다. 상아가 선단(먹으면 신선이 될 수 있다는 단약)을 먹고월궁으로 날아갔는데 옥토끼가 광한궁(廣寒宮)에서 상아와 동행하면서 토끼는 중국에서달의 상징이 되었다고 했다. 중국의 첫월면차(月球车)‘위투호(玉兔號)’명칭의유래도과학연구의 이면에 숨겨진 낭만적인측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옥토끼의 선량하고 순결하며 민첩한 형상은 월면차의 구조와 사명과 유사하면서도 신비로워 이를 통해 우주를 평화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중국의 입장을 반영한 것이다.
약방아 찧는 토끼는 대략 동한(東漢) 시기에 나타났다. 산둥성 안추(安丘)시에 있는한묘(漢墓) 중실(中室)의 봉정석(封頂石)화상(畫像)에는 둥근 달에 옥토끼와 두꺼비가절굿공이로 약을 찧는 형상이 담겨 있다. 한나라에는 도교가 흥성하여 불로장생을 추구하는 것이 당시의 주요 사조였고 도가에는 달에 불로장생 약이 숨겨져 있어 토끼가그 약을 찧는 직책을 맡고 있다고 생각했다. 서진(西晉)의 부현(傅玄)은 <의천문(擬天問)>에서‘달 속에 무엇이 있나. 흰토끼가 약을 찧고 있다네(月中何有,玉兔搗藥)’라고 직접 썼다. 민간의‘백토끼는 천 년을 산다(白兔壽千歲)’라는 설도 이로부터 나온것이다.
토끼의 아름다운 의미에 온순한 성격과 귀여운 외모, 달리기 실력까지 더해지며 토끼는 옥기, 도기, 회화 작품 속에 자주 등장했을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가와 희곡 등문학 작품의 주인공이 되기도 했다.
일찍이 <시경(詩經)>의 <토애(兔愛)>, <교언(巧言)>, <토곤(兔昆)>, <호엽(瓠葉)>에토끼가 등장했으며 한나라 이후에 토끼는 더욱 빈번하게 운문에 등장했다. 예를 들면수(隋) 양제(煬帝)의 <망강남(望江南)>에는‘맑은 이슬이 은토끼 그림자를 차갑게 적시고, 서풍이 불어 계수나무꽃가지를 떨어뜨리네(清露冷侵银兔影,西風吹落桂花枝)’라고기록되어 있다. 당나라 이백(李白)의 <고랑월행(古朗月行)> 시에서는‘흰 토끼가 약방아 찧고 있어 누구와 먹으려는지 물어보았네(白兔搗藥成,問言誰與餐?)’라고 썼다.송나라 구양수(歐陽修)가 지은 <백토>는 흰 토끼의모습과 성질을 빌어 자신이 하고싶은 일이 있으나 속박 당하는 감회를토로했다. 원(元)나라의 잡극과 명청대 소설에도토끼와 관련된 고전적이미지가 많이 나왔다. 예를 들면 4대 명작 중 하나인 <서유기(西遊記)>에도 원래 월궁에서 방아를 찧던 옥토끼가 광한궁을 빠져나와 인간세계로 와서 당승을 매혹시키고 약 찧는 방망이를 휘두르며 손오공과 한바탕싸웠다는 이야기가 있다.
토끼는 인류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기 때문에 중국의 민간에서 토끼와 관련된 많은 속담, 성어, 민속 등이 전해지고 있다.‘토끼가 둥지 주변의 풀을 뜯어 먹으면천하 백성의 목숨을 지키기 어렵다(兔子吃掉窩邊草,天下蒼生命難保)’는 말은 토끼가영성이 있는 동물이라는 뜻이다.‘교토삼굴(狡兔三窟, 교활한 토끼는 굴을 세 개 파놓는다)’은 토끼가 총명하여 자신을 잘 보호한다는 것을 비유하고,‘수주대토(守株待兔,나무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를 기다리다)’는하는 일에 있어 고지식하고 융통성이 없음을 비유한다.‘동여탈토(動如脫兔, 움직일 때는 달아나는 토끼와 같이 빠르다)’는 토끼의 행동이 민첩함을 생동감 있게 묘사한 것이다. 또 토끼와 관련된 민속에는 대부분 아름다운 축원이 담겨 있다. 예를 들어, 산둥 일부 지역의 어부들에게는‘토새회(兔塞懷, 토끼가 품에 안기다)’풍습이 있어 매년곡우청명(谷雨清明)에 아내들이 흰 토끼한 마리를 남편의 품에 안겨주며 남편이 바다로 나가 평안하고 고기잡이가 풍년이 들기를 기원했다. 광둥(廣東) 화저우(化州) 등 지역에는‘옥토끼가 길을 안내해 채소를 훔치러 가는(玉兔引路去偷青)’풍습이 있다. 즉, 미혼여성이 정월 대보름 밤에 사모하는이의 채소밭에서 채소 몇 포기를 상징적으로 훔쳐오는 것인데 이렇게 하면 앞으로의 생활이 원만할 것이라고한다. 묘족은 토끼해에 장가를 가고 집을 수리하며 자손을 많이 낳고부자가 되기를 기원한다.
또한 민간 전설에 따르면, 토끼 앞다리는 짧고 뒷다리가 길어 힘이 있으며 앞뒷다리 비율이 5:9라 위로 올라가기에 편하고 아래로 내려가는 것은 서툴다. 토끼해를 맞이하여 이 길조를 바탕으로 모두가 승승장구하기를 축원한다!
편집:董丽娜
문장과 그림에 대한 저작권은 원 저자에게 속하며 해당 내용을 삭제하고 싶을 경우 따로 연락을 주시기 바랍니다.